본문 바로가기

중국여행

(4)
[중국] [지린성] 백두산(白頭山) 새 맘 새 뜻으로 시작하는 뒤늦은 백두산 포스팅. 백두산은 내 인생 두 번째, 10년 전 백두산과는 많이 다르다. 옛말에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, 어쩌면 변하는 게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다. 가이드 분이 전달해주신 백두산 티켓. 게이트 입장할 때 바코드로 스캔하면 된다. 내가 백두산에 대해서 아는 건, 높이가 2,744m, 천지가 있음, 이 정도가 다다. 포스팅을 위해 위키백과에서 찾아보니 백두산의 백두(白頭)는 흰색의 부석(浮石)들이 얻혀있고, 산머리가 1년 중 8개월 이상이 눈으로 덮혀있어 '흰머리 산' 불려 유래됐다고 한다. 아, 그렇군! 백두산 정상까지 이동하는데, 갑자기 날씨가 흐려지고 비가 한 방울 두 방울씩 떨어지고, 설마 천지를 못보지는 않겠지, 설마. '3대가 덕을 쌓아야 천지를 볼..
[중국] [요녕성] 백암산성 요녕성, 랴오닝 성, 요령성. 이 모든 곳이 한 곳. 물론 중국어를 한국어로 바꾸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 이해할 수 있지만, 블로그에 쓰기가 애매모호하다. 내게 선택받은 이름, '요녕성'. 아무튼 요녕성에는 고구려의 백암산성이 있다. 백암산성은 고구려에서 축성한 100개가 넘는 산성 중 보존상태가 좋으며 중국에서는 연주산성이라고 부른다고 한다. 산성은 일반적으로 평야를 둔 높은 산에 자리를 잡는다. 이는 적이 나타나면 산으로 올라가 공격하기 위함이라고 한다. 고구려는 산성을 쌓을 때 성곽의 일부를 돌출시켜 적을 손쉽게 공격할 수 있게끔 하는 치성(雉城)을 쌓았다. 아래는 치성의 모습이다. 고구려 산성은 겉면이 무너져도 산성이 뚫리지 않도록 개이빨식(견치식)으로 치밀하고 단단하게 쌓았다. 백암산성 아..
[중국] [지린성] 장군총 중국의 도시에 대해서 잘 모르니, 제목 쓸 때 난감하다. 바로 전 포스팅을 현 단위로 썼더니 장군총의 현을 찾기 애매했다. 그래서 중국은 성(省) 단위로 쓰기로 했다. 그러다 보니 당연히 성이라는 한자가 城(재 성) 일 줄 알았는데, 省(살필 성)이라 의외였다. 안다고 생각했던 게 모르는 것이 되었을 때, 참 새롭다. 배워도 배워도 끝은 없구나, 싶다. 지금으로부터 13년 전, 나는 이미 장군총을 다녀온 적이 있었다. 그 때는 까마득한 대학생 때라 그저 해외여행이 신기했고, 단체로 논다는 것만으로도 너무나 좋았다. 그래서 장군총을 봤어도 "우와!" 이라는 감탄사뿐이었다. 5박 6일동안의 동북아기행동안 밤새 술만 마셨다. 낮에는 꾸벅꾸벅 졸기 일 수 였다. 사실 이번에는 나이먹어서 가는 것이니 달라진 모습..
[중국] [지린성] 영광탑 누군가 내게 9박 10일 여행 중 가장 좋았던 곳을 꼽으라고 하면 난 단연코 영광탑이라고 말할 것이다. 이 표현이 어울리는지는 잘 모르겠지만, 새벽녘의 영광탑은 세련되고 기품이 있으면서도 강인해 보였다. 그리고 마치 늘 그 자리에 서있을 것처럼 따뜻했다. 탑을 보고 감정을 느낀 건, 경주 감은사지 탑 이후 처음이다. 영광탑은 중국 내에 조선족 자치현인 장백현에 있으며 현재 유일하게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발해의 건축물이다. 그 때 설명을 들었을테지만, 기억이 1도 나지 않은 상황인 나는 포스팅을 하면서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됐다. 이 탑의 이름은 기록 자체가 전해지지 않고 있으며 청나라 말기에 이르러서야 영광탑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. 1908년 5월 장봉대를 파견하여 장백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..